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아는 기자. 아자, 대통령실 출입하는 조영민 기자 나왔습니다. <br><br>Q1. 조 기자, 개각은 개각인데 장관 한 명 바꿨어요?<br> <br>[기자]<br>흔히 개각이라고 하면 대규모 장관 교체를 생각하는데 이번에는 통일부 장관 딱 1명입니다. <br><br>대신 부처 차관 12명을 교체했습니다. <br><br>문재인 정부 취임 1년여 만에 장관 5명과 차관 4명을 교체했고, 박근혜 정부 역시 취임 1년여 만에 장관 7명을 바꾸는 첫 개각을 단행했는데요,<br> <br>시기적으로는 비슷해도 첫 개각 때 장관 인사를 이렇게 적게 하고 차관 인사만 한 사례를 찾기 힘듭니다. <br><br>Q2. 그러게요. 왜 차관만 바꾸나요?<br> <br>취재를 해보니 모든 장관의 업무 능력이 탁월해서 안 바꾸는 거라기 보다는 이런 이유가 있습니다. <br> <br>2가지 키워드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. <br><br>먼저, 청문회입니다. <br> <br>장관은 지명 이후 국회 청문회를 거쳐야하죠. <br><br>동시다발적으로 장관 청문회가 진행되면 모든 이슈를 삼켜버릴 수 밖에 없습니다. <br> <br>굳이 청문회 정국을 만들어 일할 시간도 허비하고 야당이 지지부진한 상황에서 공격의 빌미를 줄 필요가 없다는 판단입니다. <br><br>두 번째는 개각의 목적이 여기에 있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'공무원 새판짜기'<br> <br>대통령은 정권은 교체됐지만 여전히 각 부처가 국정 기조에 맞춰 움직이지 않고 복지 부동하고 있다는 불만이 큽니다. <br> <br>장관이 부처의 얼굴이라면, 차관은 실무 라인의 정점입니다. 각 부처 실국장 인사 판을 짜는 것도 차관인데요, <br> <br>이번에 발령이 난 차관들이 곧 내부 인사를 할 예정인데, 한 마디로 공직사회의 문재인 정부 색채 빼기가 시작됐다, 이렇게 말할 수 있습니다. <br> <br>대통령실에서는 대통령의 어제 이 말을 유심히 새겨야 한다는 말도 나왔습니다. <br> <br>[한국자유총연맹 제69주년 창립기념일] <br>"돈과 출세 때문에 이들과 한편이 되어 반국가적 작태를 일삼는 사람들도 너무나 많습니다."<br><br>Q3. 대통령이 차관 가는 대통령실 비서관들에게 당부를 했다는데, 무려 5시간 했다고요?<br> <br>어제 저녁 5명의 비서관을 불러 2시간 30분 가량 만찬을 했고, 오늘 인사 발표 직후 다시 불러 2시간 15분 정도 대화를 했습니다. <br> <br>인사는 그 자체가 메시지라고 하지 않습니까? <br> <br>대통령실 핵심 비서관을 보내는 것 자체가 국정철학, 그러니까 내 생각을 잘 아는 사람이 부처로 가 속도감 있게 일하라는 메시지입니다. <br><br>Q4. 그래서 구체적으로 어떤 주문을 좀 했다고 합니까?<br> <br>이 부분이 핵심인데요, <br><br>"부패한 이권 카르텔은 늘 겉은 그럴듯하게 포장돼있다" <br> <br>"이를 외면하거나 손잡는 공직자는 가차 없이 엄단하라" <br> <br>"국익을 위해 일하는 공직자는 높이 평가하고 발탁하라"<br> <br>별도로 좀 알아본 바로는 이런 이야기도 있었다고 합니다. <br><br>"국가 정책의 유일한 판단 기준이 국민이라는 것을 잊지 말고 이념에 뒤섞여서 정책이 흘러가게 놔두지 마라" <br> <br>"내 밑에서 일하다 가는 거니 장관도, 실국장들도 주목하고 긴장하지 않겠나. 잘 활용해서 국정 성과로 이끌어라" <br><br>기강도 다잡고, 내 뜻도 잘 전하라는 건데 속내는 지금 부처들이 발등에 떨어진 이슈들을 잘 챙기지 못하고 있다는 답답함이 큽니다. <br><br>이번에 바뀐 차관 부서의 경우 국토부는 건설현장 폭력행위 이른바 건폭 엄단과 전세사기 단속이 있고요, <br> <br>해수부는 후쿠시마 오염수 대응, 과기부는 나눠먹기식 연구개발 보조금 점검, 환경부는 4대강 보 재건이 핵심 현안입니다. <br><br>다만 야권은 실세 차관이 가니 장관이 허수아비가 될 거라는 우려도 하고 있습니다. <br><br>Q5. 가장 눈에 띄는 건 통일부 쪽이에요. 다 바뀌었어요. 장관 차관 대통령실 비서관까지요.<br><br>네 그렇습니다. 이런 경우가 드문데요. 통일관 장관, 차관, 대통령실 통일비서관까지 싹 바뀌어었는데, 그 인물들이 더 관심입니다. <br> <br>통일부 장관에는 대북 강경론자인 학계 인사를 차관에는 사상 처음으로 외교부 출신 관료가 임명됐고, 통일비서관에는 북한 인권을 연구한 기자출신 학자가 내정됐습니다. <br><br>통일부 출신이 한 명도 없죠. <br><br>"통일부가 마치 북한 보조 기구처럼 되서는 안 되는 것 아닌가"라고 대통령실은 설명했는데요.<br> <br>한마디로 마치 북한이 갑, 우리가 을인 것처럼 대화와 타협만을 강조하는 부처 분위기를 바꾸겠다는 겁니다.<br><br>Q6. 방통위원장 인사는 왜 미뤄진 건가요?<br> <br>굳이 서두를 필요가 없다는 판단 때문입니다. <br> <br>KBS 수신료 분리 징수를 위한 시행령 개정 절차가 진행중이죠.<br> <br>다음달 중순쯤 국무회의에서 시행령 개정안이 통과될걸로 보이는데요, <br><br>이것부터 마무리하고 지명해도 늦지 않다는 겁니다. <br> <br>수신료 분리징수를 방송탄압으로 규정하고 공세를 펴는 민주당인데, 여기에 신임 방통위원장까지 내정해 사안을 키울 필요가 없다는 판단도 깔린 것으로 보입니다.